[사자성어] 우공이산 뜻 - 어린이도 알기 쉽게 풀이해요
[사자성어] 우공이산 뜻 - 어린이도 알기 쉽게 풀이해요
우공이산은 '남이 보기에는 어리석어 보이지만 포기하지 않고 계속하다 보면 언젠가는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는 의미입니다.
어리석을 우 어른 공 옮길 이 뫼 산
내용이 어렵지는 않죠? 그렇지만 이해하기가 쉽다보니 시간이 지나면 금방 잊혀질 수도 있어요. 우공이산의 뜻을 오래 기억하기 위해서는 역시 우공이산의 유래에 대해서 읽어보는 것이 가장 좋겠죠?
<우공이산의 유래>
태행산과 옹옥산은 본래 중국의 하북성 남쪽과 하남성 북쪽에 나란히 있었다고 전해져요. 이 산은 사방이 700리에 높이는 10,000만 길이나 된다고 하죠.
이 산의 기슭에는 나이를 90살이나 먹은 우공이라는 노인이 살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우공이란 노인은 두 산이 집 앞에 버티고 있다보니 어디를 가든 멀리 돌아서 가는 수 밖에는 없었죠. 우공 노인은 이것이 여간 번거롭고 짜증스럽지 않았답니다.
어느 날 우공 노인은 가족들을 불러 모은 다음,
"산을 평평하게 깎아 길을 만들려고 하는데, 너희들 생각은 어떠냐?"
하고 물어 보았습니다.
그랬더니 모두들 찬성했습니다. 정말 두 개의 산만 없어진다면 가고 싶은 곳이 어디건 마음 놓고 다닐 수 있을 것 같았거든요.
그러나 우공 노인의 부인만은 절대 반대 의견을 내놓았습니다.
"작은 언덕 하나도 허물 수가 없을 텐데, 90살 노인인 당신이 무슨 방법으로 저렇게 큰 산을 평평하게 깎는다고 그러슈? 그리고 그 많은 흙과 돌은 또 어디다 버린단 말이에요?
"발해나 은토 북쪽에 갖다 버리면 되지요, 우리는 해낼 수 있어요, 어머니"
아들들은 자신만만한 태도로 대답했습니다.
이윽고 우공 노인은 아들, 손자들과 함께 산을 깎기 시작했습니다. 산을 파내고 목도질하여 발해에 갖다 버리는 등 모두들 정말 열심이었어요.
지수라는 사람이 이 광경을 보더니 이렇게 물었습니다.
"산을 깎아 내다니, 정말 어리석은 사람이로군. 어느 세월에 이렇게 큰 산을 평평하게 깎아 길을 만들겠다는 건가?"
이 말을 들은 우공 노인은 한심한 듯 말했습니다.
"자네는 그 나이가 되어도 어찌 그리 생각이 짧은가? 내가 죽더라도 아들이 있고, 내 아들은 손자를 낳을 것이 아닌가, 그 손자 또한 자식을 낳고, 그 자식은 또 자식을 낳겠지. 자손은 계속 불어날 것이야. 하지만 산이 불어난다는 소리를 자네는 들은 적이 있는가? 이 산은 평평해 질 걸세. 암, 그렇고 말고"
지수라는 사람은 할 말을 잃고 말았습니다.
이 때 하늘에서 이 모양을 본 옥황상제는 우공 노인의 정성에 감동했습니다. 옥황상제는 힘이 센 과아씨의 아들에게 그 산을 다른 곳으로 옮겨 놓으라고 지시했어요. 그리하여 과아씨의 아들은 두 산을 번쩍 들어 하나는 삭동에, 또 하나는 옹남에 옮겨 놓았죠. 우공 노인의 정성이 하늘에 닿았기에 이루어진 일이랍니다.
사실 현재 우리의 시점에서 보았을 때 내용 자체는 많이 어리석어 보이는 것은 사실인 것 같아요. 하지만 우리가 이 이야기에서 봐야할 것은 '정성을 다하면 못이룰 일이 없다'겠죠.
인생을 살아가다보면 모든이들의 눈에 스마트해보이고 합리적으로 보이는 일만 할 수는 없는 것 같아요. 남의 눈에는 어리석어 보일 수도 있고, 실패가 눈앞에 보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야하는 일들도 있죠.
그 속에서 좌절도 하고 포기 할 수도 있지만 그런 시행착오가 하나하나 쌓이다보면 나를 더 성장하게 만드는건 사실이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