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르니카- 피카소 작품의 대표적인 작품
저번 포스팅은 파블로 피카소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오늘은 그의 작품 중 일부를 한 번 같이 살펴볼까 합니다.
먼저 그의 대표작 중에 하나인 게르니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작품은 1937년 4월 26일에 스페인의 게르니카 지역을 나치군이 스물네대의 비행기로 폭격하는 참상을 신문을 통해 확인한 파블로 피카소가 그린 그림입니다. 당시 이 나치군의 폭격으로 인해서 수많은 사람들이 희생되었으며 기록상 250~1600명 이상의 사람들이 사망하거나 심각한 부상을 입었다고 합니다. 이 폭격으로 인하여 도시는 폐허로 변했고 도시 인구의 1/3에 가까운 민간인이 죽고 말았습니다.
특히나 파블로 피카소가 이에 대해 분노한 이유는 게르니카 자체가 군사 전략적으로 전혀 중요한 도시가 아니었으며 이는 반란을 성공으로 이끄는데에도 도움이 되는 도시가 아니라는 의미가 됩니다. 여기서 더 분노할 만한 사실은 이 폭격의 주된 목적은 그들이 가지고 있는 무기의 성능을 테스트하기 위함이었습니다. 자신들이 소유한 폭격기의 성능을 테스트하기 위해 한 마을을 송두리째 앗아가는 이런 몰상식하고 비인간적인 행위를 우리는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요? 먼 과거에 일어난 일에도 이런 분노를 느끼는데 파블로 피카소는 얼마나 큰 분노를 느꼈을것인지는 조금만 생각해보면 알 수 있는 사실입니다.
그런데 의외인 것은 이 작품이 1937년 파리 세계 박람회에 있는 스페인 전용관에 설치되도록 이미 스페인의 정부가 파블로 피카소에게 의뢰했었던 작품이라는 사실입니다. 즉 게르니카 폭격이 발생하기 몇년전부터 의뢰가 들어와있던 작품이지만 게르니카의 폭격의 참상이 파블로 피카소에게 작품의 영감을 주었던 것으로 추측해 볼 수 있습니다. 당시 독재 체제에 대해 느꼈던 비애의 감정도 그림에 잘 나타나 있는 것 같습니다. 현재 이 작품은 스페인 마드리드에 소재한 레이나 소피아 국립 미술관에 전시되어 있습니다.
작품은 오로지 검정색과 흰색, 회색을 통해 그려졌습니다. 어두운 분위기를 통해 어둡고 참담한 분위기를 조성하고 있으며 고통과 혼돈을 매우 강렬하게 표현하고 있습니다. 폭격이 일어났던 4월 26일은 게르니카의 장날이었다고 합니다. 사진 왼쪽에 있는 아이를 끌어안고 울부짖는 여인이 보이십니까? 활기찬 시장에서 장을 보고 있던 그들은 느닷없는 나치군의 폭격에 소중한 한 아이의 목숨을 잃고 말았습니다. 게르니카에 거주하던 남자들은 대부분 전쟁에 참여하고 있는 상황이었고 당시 게르니카 내부에는 대부분 여성과 어린이들 뿐이었습니다. 그림 속에서도 대부분 대상이 여성들이라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사진을 보면 황소와 말이 보입니다. 특히 황소는 피카소의 작품 속에서 자주 발견할 수 있는 동물입니다. 이 황소는 그에게 스페인을 상징했습니다. 이 작품 속에 등장하는 말과 소에 대해서 피카소는 이렇게 말합니다.
'이 황소는 황소일 뿐이며, 이 말은 말일 뿐이다. 당신은 이것에 특정한 의미를 담아 해석할 수 있고 그것이 적절한 의미라고 생각할 수 있겠지만 그것은 내 생각이 아니다. 나는 단지 본능적으로, 무의식적으로 이들을 그렸기 때문이다.'
아무튼 이작품에 대한 역사로 인해 게르니카는 반전과 평화를 상징하는 대표적인 작품이 되었습니다. 전쟁의 참상을 세계에 알리고자 노력했던 파블로 피카소의 '게르니카'는 오랜 시간이 흐른 지금까지도 전쟁에 대한 반성과 경각심을 현재 우리에게도 일깨워주고 있습니다.
'어떻게 예술가가 다른 사람들의 일에 무관할 수 있습니까?
회화는 아파트나 치장하라고 있는 것이 아닙니다.
회화는 적과 싸우며 공격과 방어를 행하는 하나의 무기입니다.'
파블로 피카소가 한 말입니다. 현재 종사하고 있는 업종과 무관하게 이러한 마음가짐은 배워 마땅하다고 생각합니다.
이상으로 파블로 피카소의 대표 작품 중 하나인 게르니카에 대한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